Published 2022. 4. 5. 04:01

대칭키vs비대칭키

 

대칭키
충분하게 안전한수준의 암호화기법
키를 은밀하게 교환해야한다
계산이 빠르다
암호화와 복호화에 쓰이는 키가 같다.

 

비대칭키
암호화와 복호화에 쓰이는 키가 다르다.
계산이 느리다.
키 교환을 은밀하게 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키 2개가 필요하다.
하나를 공개키라고 부른다
그래서 공개키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계산복잡도 이론
다항시간내에 해결되지않는 문제 (다항 시간 알고리즘)
소인수 분해
이산 대수 문제
다항 시간 알고리즘이 없다고 해서 안전x
문제의 크기에 의존
provably secure 안정성이 증명되는수준
블록체인 중에는 없음

Public Key Cryptography
타원곡선알고리즘을쓰는이유
ECC
암호
슈노르 서명
세상 미래를 바꾼 9가지 미래

창과방패의 싸움
방패는 얼마든지 준비되어 있음
자연수는 무한하니까

 

ECDSA(DLP) VS 쇼어 알고리즘
10분내로 ECDSA를 무력화하려면 19억 큐비트필요
21년 11월 기준 IBM의 자랑 (127큐비트)
Post-quantum digital signature
2.SHA vs 그로버 알고리즘

 

SHA256의 보안 난이도가 64비트수준으로 떨어짐
응 포크하면 돼

 

암호 기법과 장단점,활용법은 알아야한다
암호학,암호수학은 취업 전에도, 취업을 하고 나서도 필요하지않다.
창과방패싸움에 내가 끼어들 필요는 없다

 

암호학특강을 듣고 메모한내용이다 재밌었다 솔직히 새로운내용이라
근데 지금은..코딩을 시작한지 얼마안되서 여기에 손을대기가 무섭다

블록체인 파트들어갈때 다시보자..암호학친구

복사했습니다!